Categories
타임라인

액체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공퀴즈 #닷컴

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용주님께서 풀이하신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27번입니다!

27. 액체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분이 거의 없으며 연소, 소화, 점화의 조절이 쉽다.

2. 화재, 역화의 위험이 크고, 연소 온도가 높기 때문에 국부가열의 위험이 존재한다.

3. 기체연료에 비해 밀도가 커 저장에 큰 장소가 필요하지 않고 연료의 수송도 간편한 편이다.

4. 완전연소 시 다량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므로 연소장치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소화가 용이하지 않다.

정답은 4

퀴즈에 참여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풀기 :::

무료로 푸는 퀴즈! 공퀴즈와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Categories
타임라인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진의 입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입자의 투영면적을 2 등분하…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공퀴즈 #닷컴

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용주님께서 풀이하신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52번입니다!

52.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진의 입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입자의 투영면적을 2 등분하는 선의 거리로 나타낸 분진의 입경은?

1. Feret경

2. Martin경

3. 등면적경

4. Heyhood경

정답은 2

퀴즈에 참여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풀기 :::

무료로 푸는 퀴즈! 공퀴즈와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Categories
타임라인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설치조건(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공퀴즈 #닷컴

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용주님께서 풀이하신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80번입니다!

80.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설치조건(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형변압기, 고주파가열 등으로부터 전자유도를 받지 않아야 한다.

2. 부식성 가스 및 먼지발생이 적고, 진동이 없으며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3. 실온 10~25℃, 상대습도 30~85% 범위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없어야 한다.

4. 공급전원은 기기의 사양에 지정된 전압 전기용량 및 주파수로 전압변동은 40% 이하이고, 급격한 주파수 변동이 없어야 한다.

정답은 4

퀴즈에 참여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풀기 :::

무료로 푸는 퀴즈! 공퀴즈와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Categories
타임라인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공퀴즈 #닷컴

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용주님께서 풀이하신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34번입니다!

34.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연소는 휘발분 함유율이 적은 물질의 표면 탄소분부터 직접 연소되는 형태이다.

2. 다단연소는 공기 중의 산소 공급 없이 물질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산소를 사용하여 연소하는 형태이다.

3. 증발연소는 비교적 융점이 낮은 고체연료가 연소하기 전에 액상으로 융해한 후 증발하여 연소하는 형태이다.

4. 분해연소는 분해온도가 증발온도보다 낮은 고체연료가 기상 중에 화염을 동반하여 연소할 경우 관찰되는 연소 형태이다.

정답은 2

퀴즈에 참여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대기환경기사 2021년 3월 7일 기출문제 풀기 :::

무료로 푸는 퀴즈! 공퀴즈와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Categories
타임라인

다음 중 대기오염물질의 분산을 예측하기 위한 바람장미(wind rose)에 관한 설명으로… – 대기환경기사 (2018년 4월 28일 기출문제) #공퀴즈 #닷컴

안녕하세요

오늘은 Guest님께서 풀이하신
대기환경기사 2018년 4월 28일 기출문제 2번입니다!

2. 다음 중 대기오염물질의 분산을 예측하기 위한 바람장미(wind ros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람장미는 풍향별로 관측된 바람의 발생빈도와 풍속을 16방향인 막대기형으로 표시한 기상도형이다.

2. 가장 빈번히 관측된 풍향을 주풍(prevailing wind)이라 하고, 막대의 굵기를 가장 굵게 표시한다.

3. 관측된 풍향별 발생빈도를 %로 표시한 것을 방향량(vector)이라 하며, 바람장미의 중앙에 숫자로 표시한 것은 무풍률이다.

4. 풍속이 0.2m/sec 이하일 때를 정온(calm)상태로 본다.

정답은 2

퀴즈에 참여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대기환경기사 2018년 4월 28일 기출문제 풀기 :::

매일 무료로 푸는 퀴즈! 공퀴즈와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